

[데일리임팩트 박민석 기자 ] 해외 부동산 부실 등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리스크가 다시 부각되면서 금융당국이 증권사 측에 리스크 관리 강화 등을 당부했다.
[박민석 기자]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황선오 금융감독원 부원장보는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10개 국내 증권사 최고위험관리책임자(CRO) 등 담당 임직원들과 ‘증권사 부동산 익스포져 리스크 관리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황 부원장보는 부동산 익스포저 추가 부실 발생에 대비해 손실 흡수능력 확보와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가치 하락으로 불거진 해외 대체투자 리스크 점검 강화를 주문했다.
먼저 황 부원장보는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 힘써달라"고 말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증권사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1분기 15.88%로 작년 말(10.38%) 대비 급등했다.
황 부원장보는 "최근 침체된 부동산 시장 상황과 향후 부실 확대 가능성을 적절히 반영하는 등 충당금 산정 기준을 최대한 보수적으로 운용해달라"며 "과도한 수준의 연체율이 지속될 경우 자금조달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동산 익스포저 추가 부실 발생에 대비해 손실 흡수능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해달라"고 덧붙였다.
또한 증권사들이 사업 진행이 불투명한 브릿지론에 대해서는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하고, 부도율(PD) 적용 시 최근 부동산 시장 상황을 반영하는 등 충당금 산정기준을 최대한 보수적으로 운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상업용 부동산 가치 하락으로 불거진 해외 대체투자 리스크에 대해서도 점검 강화를 당부했다.
지난 19일 미래에셋 계열사인 멀티에셋자산운용은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 빌딩에 대출하기 위해 조성한 펀드 자산의 약 90%를 상각 처리하기로 결정했다.
황 부원장보는 "해외 대체투자는 건별 금액이 많고, 지분이나 중·후순위 대출 방식으로 투자된 경우가 많아 증권사 건전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상시로 자체 점검을 통해 투자 대상 자산의 손실 징후 발생 시 재무제표에 적시에 반영해달라"고 주문했다.
그는 투자자 피해 발생에 대해서도 "부실 발생 시 투자자금 회수 가능성을 높여주는 담보, 보증, 보험 등 투자자 권리 구제 장치가 실효성 있게 작동하는지 점검해야 한다"며 "거액 투자 건을 다수의 개인투자자에게 나눠 판매하는 과정에서 공모 규제 위반 가능성을 차단을 위해 내부통제 절차도 재점검하라"고 지시했다.
금감원은 향후 만기 연장 등 특이 동향에 대해 일일 모니터링하고, 충당금 설정, 부동산 익스포저 평가의 적정성 등을 지속해서 점검할 예정이다.
황 부원장보는 "부동산 익스포져 부실화가 증권사의 건전성·유동성 리스크 확대로 이어지지 않도록 만기 연장 등 특이 동향에 대해 일일 모니터링하는 한편 충당금 설정, 부동산 익스포져 평가의 적정성 등을 수시로 점검하겠다"며, "리스크 관리가 취약한 증권사에 대해선 별도 관리 방안을 제출하도록 해 점검하고 최고경영자(CEO) 개별 면담을 실시하는 등 집중 관리할 예정"이라고 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멀티플라이어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