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박민석 기자 ] SM 경영진이 향후 3개년간 실적 전망치인 SM 3.0 시대의 지식재산(IP) 수익화 전략을 공개했다. SM엔터 경영진 측은 "2025년 별도 기준 매출 1조 2000억원·영업이익 4300억 원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박민석 기자] 21일 SM엔터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SM 3.0: IP 수익화 전략’ 영상을 공개했다. 장철혁 SM엔터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거버넌스 문제 해소와 함께 MD·IP 라이선싱·팬 플랫폼·영상콘텐츠 등 2차 IP 사업을 확대해 수익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 이사는 “2차 IP 사업은 1차 IP 사업 결과물을 바탕으로 MD, IP 라이선싱, 팬 플랫폼, 영상 콘텐츠 사업 등 추가적 수익원을 창출하는 사업"이라며 "SM만의 고유한 정체성과 경쟁력을 바탕으로 SM 3.0을 통해 다시 한번 도약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날 그는 SM 3.0 전략을 통해 목표하는 2025년 별도 기준 매출은 1조2000억원과 영업이익률 35%로, 이는 SM 2.0내 문제 해결과 1차·2차 수익화 전략을 통해 달성할 것을 예상하며 실현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가장 먼저 거버넌스 문제 개선에 나선다. 장 이사는 "라이크기획 계약 종료 및 계약 종료 이후의 정산 약정 종료에 따라 영업이익률 6% 상승하고, 영업이익도 310억원 가까이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또한 MD유통 사업과 공연 기획 기능을 내재화하고, 경쟁입찰도 도입한다.
멀티 제작센터 운영·고수익성 2차 IP 통해 매출·영업이익 확대
멀티 제작센터 관련 계획도 밝혔다. 2025년 21개 팀 이상이 활동하게 되고, 연 40회 이상 음반이 출시된다. 음반 판매 목표는 2700만 장이다. 공연도 연 400회 이상 개최한다. 이를 통해 1차 IP 사업 매출을 2023년 5100억 원, 2025년 7600억 원으로 연평균 26%이상 늘린다.
2차 IP사업 매출 비중도 확대한다. 현 매출의 23%수준인 IP사업 비중을 4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2025년 매출 목표는 3000억원이다. SM 아티스트들의 정체성을 담은 캐릭터 사업 등을 진행한다. 세계관을 활용한 웹툰·웹소설·영상 등도 확대하는데, 여기서 카카오와 협업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9개로 분산되어 있는 팬 플랫폼을 하나로 합치는 작업도 최우선으로 실시한다.

결국 에스엠 이사진이 계획한 대로 SM 3.0 전략이 진행될 경우 3년 뒤 매출은 2.4배, 영업이익은 4.3배로 커질 것이라는 예상이자 목표다.
SM엔터 측은 오는 23일 그룹 차원의 사업 전략 및 성과 목표, 해외 및 투자 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장 이사는 끝으로 “SM 2.0 문제 해결을 포함한 SM 3.0에서의 새로운 IP 수익화 전략은 SM의 강력한 성장 동력"이라며 "명실상부 K-Pop 산업을 모든 면에서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저액 배팅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