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게임 양은서 기자] 부산이 AI 시대를 맞아 전력반도체 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글로벌 반도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 혁신과 정책 지원을 본격화한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게임 양은서 기자] 부산시와 부산테크노파크(부산TP)는 지난달 27일 부산 시티호텔에서 '피지컬 AI 시대, 전력반도체의 역할과 부산'을 주제로 기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AI 및 전력반도체 분야 전문가, 기업 관계자, 학계 및 연구기관 등 120여 명이 참석해 산업 발전 방향과 기술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세미나는 CES 2025에서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이 제시한 '피지컬 AI' 개념과 연계한 산업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부산은 이를 기반으로 AI 및 전력반도체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전력반도체 거점으로 자리 잡기 위한 전략적 방향을 수립한다.
세미나는 1부에서는 AI, 로봇, 반도체 R&D 지원 현황 및 산업 동향에 대한 전문가 발표가 이어졌으며, 2부에서는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
1부 주제 발표에서는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김윤종 수석이 정부의 AI·로봇·반도체 산업 투자 계획을 발표했으며, 두산에너빌리티 장세영 상무는 피지컬 AI 시대의 글로벌 산업 동향 및 기업 전략을 소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이형석 박사는 전력반도체 기술 혁신과 미래 방향성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유병두 실장은 부산 전력반도체 산업의 기회와 전략을 발표하며 부산이 AI 및 반도체 산업을 연계한 성장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2부 패널 토론에서는 부산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장 이성식 교수를 좌장으로 1부 발표자들이 참여해 부산이 전력반도체 산업 거점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논의했다.
패널들은 AI 시대 전력반도체 산업의 국내외 시장 동향, 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 투자 전략, 부산의 기술 혁신 방향,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 등을 주요 이슈로 다뤘다.
특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형석 박사와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유병두 실장은 AI 시대에서 전력반도체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부산이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술 혁신과 기업 맞춤형 인재 양성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또 정부와 지자체의 장기적인 전략적 지원과 글로벌 기업 유치, 연구개발(R&D)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부산테크노파크 김형균 원장은 “부산은 AI 시대를 대비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며, 전력반도체 산업이 AI 산업과 융합해 새로운 혁신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부산이 글로벌 전력반도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혁신 모델을 완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정책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부산테크노파크는 향후 AI 및 블록체인 산업 등과의 연계 세미나를 추가로 개최해 산업 간 융합과 기술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