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생과 포용’을 기치로 출범했던 국내 인터넷전문은행(이하 인뱅) 3사의 주택담보대출이 지난 1년 사이 11조원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팁 김병주 기자] 다만 인뱅이 인가 취지인 중·저신용대출이 아닌, 보다 손쉽게 이자이익을 올릴 수 있는 주담대 영업에 치중해 가계대출 급증에 일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로 지적된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7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국내 인뱅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의 주택담보대출(전월세대출 포함) 잔액은 34조4000억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23조4000억원)보다 47%(약 11조원) 늘어난 수치다.
인뱅 3사의 주담대 잔액은 지난해 5월까지만 하더라도 20조원을 밑돌았지만, 연말게 26조6000억원까지 늘어난데 이어, 올해 2월에는 30조5000억원을 기록하며 30조원을 넘어섰다.
이러한 증가세는 같은 기간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의 주담대가 515조원에서 568조7000억원으로 10.4% 늘어난 것보다 훨씬 가파른 흐름이다. 동기간 전체 은행권의 주담대는 655조4천억원에서 714조1천억원으로 8.9% 늘었다.
은행별로 보면 케이뱅크의 주담대 잔액은 작년 8월 4조1000억원에서 올해 8월 7조7000억원으로 87.8% 급증했다.
같은 기간 카카오뱅크의 주담대 잔액은 19조3000억원에서 24조9000억원으로 29% 늘었다. 주담대를 취급하지 않는 토스뱅크는 지난해 9월 전월세보증금 대출을 출시한 이후 잔액이 올해 8월 1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이같은 인뱅들의 주담대 급증은 올해 시작된 주담대·전세대출 갈아타기(대환대출) 서비스에서 낮은 금리와 편의성을 앞세운 인뱅 3사가 선전한 영향으로 보인다.
다만, 인터넷은행의 본래 인가 취지인 중·저신용대출 공급보다 부실 우려는 작으면서도 손쉽게 이자이익을 올릴 수 있는 주담대를 확대해 부적절한 영업 행태를 보인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김현정 의원은 “인터넷전문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을 급격히 늘리는 것은 포용적 금융을 목표로 한 인터넷전문은행의 설립 취지와 맞지 않다”며 “급격한 대출 증가가 가계부채의 질을 악화시키고 금융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금융당국의 철저한 관리와 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팁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