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확률 박민석 기자 ]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CA협의체 경영쇄신위원장이 구속 기로에 놓였다.
[박민석 기자]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2부(부장 장대규)는 17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김 위원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9일 오전 김 위원장을 소환해 20시간이 넘는 밤샘 조사를 진행한 지 8일 만이다.
김 위원장의 구속 여부를 결정할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은 오는 22일 서울남부지법에서 열린다.
검찰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해 2월 하이브와 SM엔터테인먼트가 경영권 인수 경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2400여억원을 투입해 SM의 주가를 하이브의 공개매수가인 12만원보다 높게 올릴 목적으로 시세조종을 한 혐의를 받는다.
당시 카카오는 계열사 카카오엔터와 함께 SM엔터테인먼트 주식을 대량 매수해 최대주주가 됐다. 검찰은 카카오가 SM 경영권 인수경쟁에서 하이브의 공개매수를 방해할 목적으로 주가를 높인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카카오가 사모펀드 운용사 원아시아파트너스 등과 공모한 것으로 보고 시세조종 행위를 김 위원장이 지시하거나 승인했는지 중점 수사했다.
김 위원장은 소환조사 당시 카카오가 SM 엔터테인먼트 주식을 사들이는 것에 대해 승인한 바 없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검찰은 김 위원장과 같은 혐의를 받는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와 카카오 법인을 먼저 재판에 넘겼다. 배 대표는 자본시장에서의 자유로운 경쟁이었고 불법성이 없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카카오 측과 공모해 펀드 자금 1100억 원으로 SM 주식을 고가 매수한 혐의를 받는 사모펀드 운용사 원아시아파트너스 대표 A씨도 올해 4월 구속기소했다.
이날 구속영장 청구 직후 카카오 변호인단은 “김 위원장은 지난해 SM엔터 지분 매수에 있어 어떤 불법적 행위도 지시, 용인한 바 없다”며 “검찰이 구속영장까지 청구한 점에 대해 심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변호인단은 김 위원장이 받은 혐의에 대해 “사업 협력을 위한 지분 확보 목적으로 진행된, 정상적 수요에 기반한 장내매수였다”며 “향후 영장 심문 과정에서 성실히 소명하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확률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