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변윤재 기자] 삼성전자가 풀HD급 4GB 영화 1편을 2초 만에 저장할 수 있는 포터블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신제품을 출시했다.
[변윤재 기자] SSD는 낸드플래시 기반의 휴대용 저장장치다. 낸드는 D램보다 반등 시점이 늦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만큼, 업황 부진을 개선시키기 위해 소비자용 SSD에 힘을 주는 것으로 분석된다.
4일 삼성전자는 초고속 포터블 SSD T9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최신 데이터전송 인터페이스인 USB 3.2 Gen 2x2를 지원하는 T9은 4TB(테라바이트) 모델 기준 업계 최고 수준인 최대 초당 2000MB의 연속 읽기∙쓰기 속도를 지원한다. 이전 세대 제품인 T7와 비교해 연속 읽기∙쓰기 속도가 약 2배 빠르다. 회사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스토리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불러오거나 저장하는 속도가 향상됐다"며 "고용량 데이터를 다루는 전문 크리에이터, 포토그래퍼 등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T9은 USB C타입 표준 전력사용 규격에 맞춰 설계됐다. 안드로이드, 윈도우, 맥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은 물론 게임 콘솔, 방송용 카메라까지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 가능하다.
또 장치의 열 전달을 분산시키고 개선하는TIM 소재를 적용해 대용량 파일을 고속 데이터로 전송할 때 내부 온도 제어가 용이하다. 제품 표면 온도가 최대 60℃가 넘지 않게 설계해 국제 안전 표준 기준도 충족하도록 했다.
디자인 경쟁력도 한층 강화됐다. 신용카드와 비슷한 크기로 제작, 휴대성을 높였다. 부드러운 촉감의 재질을 외관에 사용해 편의성도 향상됐다. 여기에 비대칭 사선의 굴곡과 카본 패턴을 입혀 고급 지갑같은 세련미를 더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제품 관리 소프트웨어인 삼성 매지션 8.0으로 실시간 제품 상태 확인, 성능 벤치마크, 보안 기능 강화, 펌웨어 업데이트, 정품 인증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T9은 1TB, 2TB, 4TB 3가지 용량으로 3일부터 전세계에 순차적으로 공개 중이다. 국내에선 이날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가격은 1TB, 2TB, 4TB 모델 각각 16만5000원, 29만1000원, 53만원이며, 보증기간은 최대 5년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고용량 고성능 SSD를 강화하고 있다. SSD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보다 발열과 소음이 적은 대신 속도가 빠르다. 이에 HDD를 SSD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 서비스가 급증한 가운데 고화질 고사양 게임·영상 콘텐츠 소비가 늘면서 더 높은 성능을 지닌 저장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 같은 수요를 공략해 낸드 수익성을 끌어올리고 시장 주도권을 공고히 한다는 구상이다. 실제 소비자용 SSD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시장으로 꼽힌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소비자용 SSD 시장이 2022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36.1%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다른 시장조사업체인 옴디아 역시 소비자용 SSD 시장의 견조한 성장을 예상했다. 소비자용 SSD가 포함된 클라이언트 SSD 시장은 올해 87억9700만달러에서 2025년 145억7500만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삼성전자는 지금까지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을 높인 소비자용 SSD를 선보이면서 시장 점유율을 늘려왔다. 실제 2020년 3분기 31.9%였던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올 1분기 39.1%로 상승했다. 낸드 업황 부진을 기회 삼아 자사의 지배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게 삼성전자의 전략인 셈이다.
손한구 메모리사업부 브랜드제품 Biz팀 상무는 "고화질 이미지와 4K 동영상이 보편화 되면서 소비자들이 고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저장할 일이 빈번해졌다"며 "사용자의 이런 니즈를 반영, 온전히 작업에만 집중할 수 있는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무료슬롯머신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