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경제프로그레시브 슬롯머신 무료게임 김나영 기자]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의 연임이 확정되면서‘함영주 2기’ 체제가 본격 출범했다. 앞으로 3년간 하나금융을 더 이끌게 된 함 회장은기업가치 제고(밸류업)와 비은행 수익성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하나금융그룹은 25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사옥에서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함 회장 사내이사 선임 안건을 찬성 의결했다. 임기는2028년 3월까지다. 함 회장은 지난 2022년 3월 회장으로 취임한 뒤 그룹 실적 개선을 통해 우수한 경영 능력을 입증받아 주총에서 외국인 주주와 국민연금의 찬성표를 이끌 수 있었다.
함 회장은 연임이 확정된 후 주주총회에서 "고객과 주주들로부터 중차대한 소임을 부여받았다"며 "그룹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사업영역 확장과 더불어 미래금융과 기술혁신에 대한 경쟁력 강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함영주 2기' 체제의 하나금융은 기업가치 제고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하나금융은 지난달 국내 금융지주 최초로 밸류업에 대한 경영진의 의지를 담은 최고경영자(CEO) 인터뷰 영상을 27일 공개했는데, 영상에서 함 회장은 "그룹 CEO로 지난 3년간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한 것은 밸류업"이라며 “적극적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하나금융그룹의 PBR을 1배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특히 지속적인 주주환원 강화를 통해 기업가치 제고에 힘쓸 방침이다.하나금융은 자사주 매입·소각 비중을 확대해 2027년까지 총주주환원율 50%를 달성하겠다는 비전을 내세웠다. 지난달 4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보통주자본비율도 13.0~13.5% 구간에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위험가중자산이익률(RoRWA) 중심의 핵심성과지표(KPI)·사업포트폴리오 개선을 통해 자기자본이익률(ROE)을 10% 이상으로 유지할 방침이다. 위험가중자산이익률(RoRWA) 수치가 높을수록 은행이 보유한 위험 보다 수익성이 높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비은행 부문 강화 역시 함 회장 2기의 과제로 꼽힌다. 함 회장은 2027년까지 비은행 부문 순이익 1조6000억원 이상을 달성하고, 비중도 30% 이상으로 증대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비은행 부문 수익 확대를 통해 내실을 키우고, 협업에 기반한 사업포트폴리오를 강화할 계획이다.특히 M&A(인수합병) 대신 본업 경쟁력을 키워 비은행 사업의 이익을 창출하겠단 전략이다.
함 회장은 이밖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과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에도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함 회장은 그룹 ESG 경영의 원년인 지난 2021년부터 ESG 부회장을 역임하면서 ESG 경영의 기틀을 마련했다. 지난해 글로벌 ESG평가기관인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한 ESG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AAA' 등급을 획득하기도 했다.
1기에서 ESG 경영 내재화를 정착했다면 2기에서ESG 경영 실행력이 강화될 전망이다.공시 투명성을 위해 ‘공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 지속가능한 금융 실천을 위해 ‘녹색 금융(전환금융) 협의체’를 신설할 계획이다.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에도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다. 초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시니어 자산관리시장을 선점하고자 ‘하나 더 넥스트’라는 시니어 사업을 본격화 한다. 또, 17만 가구의 잠재 시장을 가진 ‘하나 시니어 역모기지론’을 확대해 하나금융의 혁신금융 서비스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프로그레시브 슬롯머신 무료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